한국 10점 만점에 6.68점 불과… 행복감 낮추는 요인은?
한국 10점 만점에 6.68점 불과… 행복감 낮추는 요인은?
우리나라 성인이 스스로 느끼는 삶의 만족감, 즉 행복지수는 그다지 높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제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설로마, 전진호 교수 연구팀은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 요인’ 연구보고서를 위해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22만6545명(남자 10만2284명, 여자 12만4261명)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와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전체 조사 대상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6.68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주관적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전체의 34.7%였다. 성별로는 남자 35.4%, 여자 34.2%로 근소한 차이로 남자가 약간 높았다.
주관적 행복감 인지율을 생애주기별(연령별)로 나눠보면, 19∼44세 39.5%, 45∼64세 35.3%, 65∼74세 29.7%, 75세
이상 25.7% 등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낮아졌다. 연구팀은 이는 노인이 될수록 행복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라며 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 높은 현재 한국 사회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학력별로는 무학·초등학교 25%, 중고등학교 32.3%, 대학교 이상 44.1% 등이었고, 가구 소득별로는 월 99만 원
이하 23.1%, 월 100만∼299만 원 이하 31.6%, 월 300만∼499만 원 이하 39.8%, 월 500만 원 이상 49.1% 등으로 교육 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았다.
또한 현재 배우자와 같이 살고
있는 경우가 이혼·별거·사별·미혼 등의 이유로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주관적으로 더 행복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왔다.
이외에 ▲자원봉사활동 ▲종교 ▲친목 ▲여가(레저) 등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와 ▲가족·이웃·친구 등
주변과 활발하게 접촉하는 것도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또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스스로 생각하며
사회 물리적 환경에 만족하고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고 ▲충분히 잠을 깊이 자는 것도 행복감을 높이는 요인에 포함됐다.
하지만 필요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관절염·당뇨병·고혈압 등 질병으로 고통받으며, 흡연과 음주를 할 경우 행복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저자 전진호 교수는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저출산 상황에서 인구 집단의 질을
유지하고 보존하려면 건강과 웰빙, 심지어 사망률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환경 조성과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 ‘주간 건강과 질병’에 최근 게재됐다.
외롭고 피곤할 때도 분위기에 휩쓸리지 말고 멈춘다(홀트!). 외로울 땐 친구에게 연락해 커피 한잔하자고 말한다.
피곤하지 않게 평소 적정한 잠 시간을 확보한다. 그래도 갑자기 피로가 느껴지면 당연히, 멈춘다(홀트!).
들여다보던 모니터와 휴대전화 액정에서 눈을 떼보면 어떨까.
배화외피 또는 홀트는 종합 처방이다. 배(고픔), 화, 외(로움), 피(로) 가운데 배고픔과 피로는 몸의 일이다.
화와 외로움은 마음의 일이다. 우리는 중독에 취약하다. 몸도 마음도 중독의 원인이 된다. 중독은 심신의 궤도 이탈에서 비롯한다.
배화외피 또는 홀트를 활용해 정상 궤도에서 이탈한 ‘나’를 멈추게 하고, 진정시키는 일은 중독 차단을 넘어 행복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