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8000명 살펴보니 이것 사용하면 우울증 적고 인지기능 높더라
노인 8000명 살펴보니 이것 사용하면 우울증 적고 인지기능 높더라
셀카 이 각도 로 찍는 사람 실제보다 더 날씬하다고 느껴
전자기기와 친한 노인은 우울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현웅 교수 연구팀은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디지털 문해력이란 전통적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뜻한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 출현, 소셜 미디어 확장으로 컴퓨터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등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 활용 능력으로 개념이 확장됐다.
연구팀은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7988명의 노인을 분석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3세로 이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 부족, 70%는
디지털 소통 능력 부족,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부족,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구팀은 원활한 평가를 위해 디지털 문해력을 4개 범주로 나눴다.
소통(디지털 기기 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 이용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 이용 음악감상 및 영화시청 능력)
전자금융(디지털 기기 이용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고, 인지기능은 높아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이, 성별, 교육, 결혼, 직업, 취미, 흡연, 만성질환의 수 등을 보정한 결과였다.
특히 매개효과 분석 결과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디지털 전자금융 문해력’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인 대상의 디지털 교육 및 훈련이 우울증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인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활성화 디지털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증 관리 등을 위한 플랫폼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의 저자 노현웅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어려워하고 멀리할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어르신들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루 세끼를 골고루 분배해 먹는 습관이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저장성대 연구팀은 ‘중국국민건강영양조사(CHNS)’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55세 이상 성인 334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의 식습관을 분석해 세끼를 골고루 나눠 먹는 집단
아침 과식 집단 점심 과식 집단 저녁 과식 집단 간식 섭취 집단 아침 거르는 집단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조사했다.
그다음 ‘인지 상태 전화 인터뷰(TICS)’라는 조사 기법을 이용해 인지 점수를 매겼다.
TICS는 전화로 11개의 질문을 던져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조사 결과, 세끼를 골고루 나눠 먹는 집단의 인지기능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아침을 거르는 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연구진은 하루 세끼를 골고루 분배해 식사하는 것과 인지기능 사이 명확한 연관성을 밝히진 못했으나,
과식하지 않고 세끼를 분배해서 먹는 것이 생체리듬 유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한 끼에 몰아서 식사하면 갑작스럽게 많은 영양분을 섭취하게 돼 체내 활성산소가 증가하는데,
이로 인해 신경세포(시냅스) 활동이 방해를 받아 인지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아침을 거르는 등 잘못된 식습관은 인지기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하루 세끼를 골고루 분배해서 먹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