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포 올라 대상포진인줄 알았더니 검투사 포진?
수포 올라 대상포진인줄 알았더니 검투사 포진?
국내에서 처음으로 ‘검투사 포진(Herpes gladiatorum)’ 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검투사 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이다.
보통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면 검투사 포진은 격렬한 피부 접촉이나 구강 분비물에 의해 전파된다.
얼굴, 귀, 손 등에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환명에 검투사가 붙은 이유는 레슬링, 럭비 등 밀접 접촉을 하는 스포츠 선수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국내 감염자 2명도 15세 레슬링 선수들이었다.
충북대병원 소아과 의료진은 첫 번째 환자의 경우 오른쪽 얼굴과 귓바퀴 부위에
집중적으로 수포가 올라와 신경절을 따라 발생하는 대상포진으로 오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첫 번째 환자가 퇴원한 지 일주일 뒤 또 다른 레슬링 선수가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입원했다.
이 환자는 오른쪽 팔부터 물집이 시작돼 얼굴·목·입술로 확산했고 수포가 전형적인
대상포진처럼 삼차신경 분포를 따르지 않았다. 오른쪽 목에서도 피부 병변도 나타났다.
대상포진과 다른 양상을 보이자, 의료진은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두 명의 환자 모두 검투사 포진으로 확진됐다.
실제 두 선수는 발병 전 같은 학교에 다니면서 몇 달간 레슬링 훈련을 받았다.
매일 최소 3분 이상 경기를 치르며 피부 접촉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진은 같은 팀의 다른 선수들에게서도 유사한 피부 병변이 있었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
의료진은 “레슬링 선수들이 시합 중 머리와 목이 서로 고정된 그래플링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피부가
맞닿는 한쪽 측면에 국한돼 피부 병변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런 피부 병변의 편측성 탓에 대상포진과 구분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또 “주짓수나 종합격투기 등 가까이서 겨루는 격투스포츠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검투사 포진의 발병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헤르페스 1형은 주로 입술, 얼굴, 및 눈에 감염을 일으킨다.
자연스럽게 낫는 경우도 있으나 증상이 심해질 수도 있고, 바이러스가 눈이나 뇌를 침범할 수도 있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피부의 표피와 진피는 고정원 섬유에 의해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데, RDEB는 이 고정원 섬유의 주요
구성성분인 7형 콜라겐의 유전적 결함으로 발생한다.
RDEB 환자들은 출생 시부터 반복적인 전신 피부 및 점막의 수포와 상처, 심한 통증과 가려움에 시달린다.
또한 상처의 이차 감염, 만성 상처 부위에서 발생하는 피부편평세포암,
관절 구축과 손발가락 붙음증(합지증), 식도 협착으로 인한 연하곤란,
만성 빈혈 및 내부 장기 부전 등의 증세가 흔히 동반되는 중증 난치성 유전 피부질환이다.
안타깝게도 RDEB 질환은 지금까지 대증적 치료에만 의존해왔으나,
최근 수년 사이에 재조합 7형 콜라겐 주입 치료, 약물치료, 세포치료 및 유전자 치료 등 새로운 치료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략 중 근본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유전자 치료로,
[체외 유전자 교정 자가 세포치료(ex vivo autologous gene-corrected cell therapy)]는
환자로부터 유래한 세포에서 변이 유전자를 교정하여 다시 환자에게 넣어주는 획기적인 치료방식이다.
연구팀은 RDEB 환자에서 채취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아데닌 염기교정과 프라임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7형 콜라겐을 발현하는 COL7A1 유전자 변이 중 우리나라 환자에서 가장 흔한 2가지
돌연변이를 교정함에 성공했다. 또한 유전자 변이가 교정된 환자의 섬유아세포를 면역결핍 마우스의
진피 내에 주입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만든 인공피부를 면역결핍 마우스에 이식하였을 때,
사람의 7형 콜라겐이 표피-진피 경계부에 RDEB 환자의 피부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침착함을 확인하였고, 치료 부위에서 고정원 섬유의 생성이 이루어짐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