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 냉동 보관 세균도 얼어서 괜찮다?
음식물 쓰레기 냉동 보관 세균도 얼어서 괜찮다?
1인 가구는 음식물 쓰레기가 많지 않다.
그때그때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쓰자니 아깝기도 하다.
임시방편으로 냉동실에 보관하는 사람도 있다.
위생에 괜찮은 걸까?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발열, 설사 등이 동반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뇌수막염이나 패혈증을 앓을 수도 있다.
특히 임산부는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됐다가 유산한 사례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겨울철에 활발한 노로바이러스 역시 마찬가지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는 1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3월에 정점을 찍는 경향이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독감 비슷한 증상과 함께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익히지 않은 어패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그때그때 버리는 게 좋다.
음식물 쓰레기는 세균이 번식하기에 적합하다.
수분과 유기물 함량이 높기 때문이다.
덕분에 음식물쓰레기엔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유명한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이 살고 있다. 봉투에 넣었다고 안심하는 건 금물이다.
음식물을 넣는 과정에서 봉투에 묻은 세균이 냉동실 전체로 퍼질 수 있어서다.
실제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했던 냉동실을 검사했더니 기준치의 49배에 달하는 세균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냉동실에서는 세균이 활동할 수 없다고 여기기 쉽다.
그러나 사실이 아니다.
실험실에서 세균의 생장을 정지시키기 위해 보관하는 온도 영하 70~80도다.
기껏해야 영하 15~20도 정도인 가정용 냉동고에선 세균의 활동이 느려질 뿐 여전히 유해하다.
어떤 세균은 냉동실에서도 활동적이다.
리스테리아균이 대표적이다.
리스테리아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해 있는 식중독균으로 영하 20도에서도 증식할 수 있다. 주로 육류, 유제품 등에서 발견된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발열, 설사 등이 동반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뇌수막염이나 패혈증을 앓을 수도 있다.
특히 임산부는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됐다가 유산한 사례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겨울철에 활발한 노로바이러스 역시 마찬가지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는 1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3월에 정점을 찍는 경향이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독감 비슷한 증상과 함께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익히지 않은 어패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그때그때 버리는 게 좋다.
만약 봉투 낭비를 막기 위해 냉동실에 넣어야 한다면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바로 넣는 게 좋다.
식초, 구연산 등 천연 살균제를 분무기에 넣어 봉투 곳곳에 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먹는 음식과는 떨어져 보관하고 비닐 봉투나 밀폐용기로 한 번 더 밀봉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