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단식하면 사망 위험 높아지는 사람은
간헐적 단식하면 사망 위험 높아지는 사람은
간헐적 단식은 하루 4~12시간 내로 일일 섭취 시간을 제한하는 식사법이다.
8시간 동안 음식을 섭취하고 나머지 16시간 동안 단식하는 16:8 식사법이 대중적이다.
신진대사나 체중 관리 및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많아 하나의 건강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그런데 최근, 음식 섭취 시간을 제한하는 간헐적 단식이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심장 협회 연구팀이 200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성인 2만78명을 최대 17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하루 8시간 미만으로 음식 섭취를 제한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식사(하루 12~16시간 식사)를 한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91% 더 높았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증가는 암 환자나 심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암 환자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간헐적 단식과 사망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헐적 단식은 특정 시간 동안 공복을 유지하는 시간제한 식이요법의 일종으로, 세간에 잘 알려진 ’16:8 단식'(16시간 금식 후 8시간 내 식사)
’23:1 단식'(23시간 금식 후 1시간 내 식사), ‘격일제 단식'(격일 간격으로 완전 금식 또는 완화된 단식), ‘5:2 단식'(1주일 중 5일은 정상식, 2일은 완전 금식 또는 극단적 칼로리 제한) 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
일정 시간 동안 공복을 유지해 체내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고, 지방을 대사하면 나오는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지방을 소모시킬 수 있다는 이론을 토대로 나온 것인데요.
몇 년 전 TV방송을 통해 ‘몸짱’으로 알려진 유명 연예인들의 다이어트 성공 비결로 소개되면서
일정 시간 동안 공복만 지키면 아무리 많이 먹어도 다이어트가 가능하다는 주장들과 함께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간헐적 단식에는 ’16:8′, ’23:1′, ‘격일제’, ‘5:2’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비록 방법에 차이는 있으나
기본 원리는 일정 시간 동안 공복 유지 또는 극단적으로 칼로리를 제한해 매우 적게 먹는 것입니다.
이중 격일제 단식에 대해 실험한 논문이 JAMA Internal Medicine이라는 저명한 의학 학술지에 실렸는데요.
먼저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섭취 칼로리가 같다면 격일제 단식을 하든, 일정하게 소식을 하든, 체중은 비슷하게 빠졌습니다.
해당 실험에서는 두 집단의 섭취 칼로리는 동일하게 하고, 먹는 방법에만 차이를 두었는데요.
A집단은 격일제로 하루에 필요한 칼로리의 125%를 먹도록 하고, 그다음 날에는 25%만 먹는 형태를 반복하도록 하였고, B집단은 매일 꾸준히 하루에 필요한 칼로리의 75%를 먹게 했어요.
그렇게 6개월을 관찰하자, 두 집단 모두 체중이 비슷하게 감소하였습니다.
이후 실험 대상자들에게 그들이 평소에 먹던 식단 대로 먹게 하고 추가로 6개월을 더 관찰하였는데 체중감량 후 요요도 비슷하게 나타났어요.
즉, 동일한 칼로리를 먹으면 간헐적 단식과 일정한 소식은 살이 비슷하게 빠지고, 이후 요요도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연구를 주도한 빅토르 원제중 박사는 “지난 몇 년 간 간헐적 단식은 체중 감량과 심장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알려진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간헐적 단식은 단기적인 건강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단, 이 연구 결과를 간헐적 단식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유발했다는 결론으로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
위 연구는 참여자들의 자가 보고된 식이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습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추후 시간 제한 식사와 심혈관질환 부작용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분석하고 다른 모집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가 분석할 예정이다.